서방 전차가 모두 불타버릴 것이라고 주장한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의 인터뷰에 감명을 받은 것인지, 러시아의 한 기업이 서방 전차 파괴에 대한 현금 보상을 약속했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우랄 지역에 본사를 둔 에너지기업 포레스는 독일 레오파드2 전차나 미국 M1 에이브럼스 전차를 ‘포획하거나 파괴’하는 러시아 군인들에게 현금을 지불하겠다고 공표했다.
확전이나 핵 위협 등을 우려해 중화기 지원을 꺼려오던 서방은, 최근 불과 수주 만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폭을 넓혔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에 대해, 전황에 대한 서방의 판단이 지난해와 달라졌다는 해석을 내놓았다. 우크라이나는 작년 여름 이후 반격에 나서며 북부 하르키우와 남부 헤르손 등지를 탈환했지만, 동부 전선에서 고전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국 시간이 지체될수록 러시아가 승기를 되찾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주력전차 등 중무기 지원을 결정했다는 것이다.
현지 시각으로 1월 28일, 미 정치 전문 매체 폴리티코는 “F-16을 우크라이나에 보내자는 의견이 펜타곤에서 힘을 얻고 있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다.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논의에 정통한 익명의 소식통들을 인용한 해당 보도에서는,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공습으로부터 방어 능력을 갖추도록 미 국방부가 F-16 지원 승인을 조용히 추진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우크라이나 전차 지원을 검토하는 유럽 각국은 안보 공백을 우려하는 내부 의견을 맞닥뜨릴 가능성이 크다. 이에 월등한 가성비와 빠른 납기가 장점인 K2 전차를 찾는 국가가 많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김종하 한남대 경영·국방전략대학원장은 “유럽 국가들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제공하면 공백을 메우고자 한국 무기 문의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