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 전투기 개발 활성화
하늘을 잡아야 유리하다
한국 전투기의 전망

%EC%A0%84%ED%88%AC%EC%8B%9C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여러 국가에선 군사력을 키우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특히 서유럽 국가들 중 독일은 국방비를 1,000억 유로 한화로 약 133조 원을 증액시켰다. 독일은 이후 노후화된 전투기를 미국제 스텔스 전투기 F-35A 35대를 구입하겠다고 발표했다.

게다가 다양한 국가에서는 전투기를 직접 만들기도 하고, 전투기들을 구매하는 모습들을 보이고 있다. 왜 이렇게 많은 국가에서 전투기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1 29 2 31
하늘은 선점하면
승리에 가깝다

전쟁 중 제공권을 놓쳤다는 것은 이미 백기를 들었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가장 큰 예로 2차 세계대전에서 영국군보다 독일군이 공군력에서 부족했기 때문에 영국을 함락시키지 못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한 제공권은 단순히 공격만이 아닌 물자 보급 등 군사력에 큰 도움이 되기도 한다.

물론 제공권만 선점한다고 해서 반드시 전쟁에 승리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공권을 선점하면 비교적 쉬운 전투를 이어갈 수 있다. 적군이 비행기로 군수물자를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지상에서 이동하는 것도 정찰할 수도 있다.

3 28 4 30
영국과 손잡은
일본의 전투기 개발

지난 14일 일본 매체는 “영국과 일본이 6세대 전투기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 “일본이 보유하고 있던 F-2 전투기를 퇴역시키고 2030년대 중반부터 6세대 전투기를 도입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일본은 원래 미국에서 전투기 지원받기로 했지만, 영국과 정부 협의에서 두 국가 모두 요구 성능이 같고, 실전 배치하려는 기간도 동일하다는 점 때문에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6세대 전투기 개발 주체는 미츠비시중공업과 영국 항공방위대기업 BAE 시스템즈가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5 26 6 29
자국 기술로 개발한
4.5세대 KF-21

최근 시험 비행을 마친 KF-21은 세계에서 8번째 국가로 초음속 전투기를 만들어낸 것이다. 많은 군 전문가들은 “KF-21은 4.5세대 전투기라고 불리고 있지만, 실제 성능은 4.5세대 전투기 이상의 성능을 낼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이어 “아직 시험 비행 30분 정도의 개발 단계를 이어가고 있지만, 실제와 완성될 경우엔 더 높은 화력을 가진 전투기가 될 것”이라며 “실제로 미국은 F-16 전투기를 업그레이드해 일부 성능은 F-35와 비슷한 수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KF-21도 충분히 좋은 성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5
+1
63
+1
7
+1
3
+1
4

국내 랭킹 뉴스

    2

    1. 당장은 새로운 무기체계를 공고히 만들고 보안에 더욱 힘쓰며 정밀하고 정확한 정보획득이 관건이라 생각하며 꾸준히 이분야에 투자하여 세계적인 선도국으로의 도약을 기대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