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공군, 드론 윙맨 도입
F-35가 스웜 역할
경보기, 급유기에 필요

dd158cd9 08a8 4fe7 9725 5adfcce1bbd7

아마 미래 하늘에서 일어나는 전투에서 가장 중요한 전력은 무인기가 아닐까 싶다. 전투기 파일럿은 양성하는데 투입되는 시간과 비용이 매우 높은 고급 인력인데, 이를 기계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큰 이점을 갖는다. 하지만 아직 무인기가 단독으로 전투를 수행할 정도로 수준이 높지 않기 때문에, 이를 지휘할 수 있는 유인 비행기와 함께 투입된다.

미 공군은 최근 이러한 전투 드론을 일반 전투기를 보조해 주는, 일명 드론 윙맨 전략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 드론들은 어떤 임무를 수행하고, 어떤 비행기가 이를 컨트롤하게 될까? 그리고 어떤 드론이 이 임무를 수행할까? 이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야기를 나누어보자.

F-35 전투기
F-35 전투기
미사일을 발사하는 F-35 / 사진 출처 = Youtube 'The Daily Aviation'
미사일을 발사하는 F-35 / 사진 출처 = Youtube ‘The Daily Aviation’

F-35가 드론 스웜 역할
다양한 임무 수행

흔히 유인기가 무인기 여러 대를 컨트롤하여 전투를 수행하는 방식을 드론 스웜이라고 한다. 미 공군은 이를 전자전에 특화된 최신 전투기인 F-35가 수행하길 바라고 있는데, 특히나 F-35가 지상 공격, 공중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파일럿이 전투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드론이 이를 보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드론은 이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목표물을 타격하는 전투 임무부터 주변 정보 수집과 적에 대한 정찰과 감시 임무도 수행이 가능하며, 심지어 적의 전파를 방해하는 전자전에서도 힘을 발휘할 수 있다. 드론이 이러한 보조적인 임무를 수행한다면, F-35는 더욱 핵심적인 임무에 집중할 수 있을 것이다.

KC46 공중급유기 / 사진 출처 = 'Military.com'
KC46 공중급유기 / 사진 출처 = ‘Military.com’
미 공군 737 AEW&C / 사진 출처 = 'Flight Global'
미 공군 737 AEW&C / 사진 출처 = ‘Flight Global’

방어 능력 없는 항공기 보조
더 안전한 작전 수행 가능

또한 F-35와 함께 직접적인 전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자체 방어 능력이 없는 항공기들에 배치되어 해당 기체들의 생존 가능성을 크게 높여줄 수 있다. 대표적으로 공중 급유기와 공중조기경보통제기 등 방어 능력은 없지만 적의 주요 공격 대상이 되는 항공기들이 그 대상이 될 것이다. 경보기는 아군의 공격을 탐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급유기는 적군 전투기들의 작전 반경을 크게 넓혀주기 때문이다.

여러 대의 드론에게 보호받을 수 있다면 해당 기체들은 더욱 효과적으로 정찰과 경보, 급유 등의 주요 작전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미 공군은 이러한 이상적인 미래를 위해 현재 유인 기체가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드론과 상호작용할 수 있을지 철저하게 고안하고 있다고 한다.

MQ-28 고스트 뱃
MQ-28 고스트 뱃
드론 윙맨 역할을 할 MQ-28A / 사진 출처 = 'CNET'
드론 윙맨 역할을 할 MQ-28A / 사진 출처 = ‘CNET’

MQ-28이 이 임무 맡아
네티즌 ‘진짜 영화 같다’

이러한 임무를 수행할 드론은 보잉사가 호주군과 함께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는 무인 전투 드론인 MQ-28이 될 예정이다. 이 드론은 보잉이 최초로 해외에서 제작하는 무인기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지만, F/A-18부터 F-35까지 대부분의 서방 기체에 의해 컨트롤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네티즌은 이에 대해서 놀랍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 네티즌은 ‘전투기가 무인기를 조종하는 모습은 진짜 영화 같을 것 같다’라는 댓글을 달았으며, ‘우리도 저런 식으로 해서 파일럿들을 지킬 수 있었으면 좋겠다’라는 댓글을 달기도 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6
+1
12
+1
5
+1
13
+1
19

1

  1. “경보기는 아군의 공격을 탐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급유기는 적군 전투기들의 작전 반경을 크게 넓혀주기 때문이다.”에서 아군, 적군이 바뀐것 아닌가요?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