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무인기 남침 사건
대응 실패한 우리 군
미 군사당국 평가는?

무인기
1 2 22

현지 시각으로 지난 10일,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작년 12월 발생한 북한 무인기 남침 사건을 다룬 미 기밀문건 내용을 공개했다. 당시 길이 2m 이하의 북한 소형 무인기는 오전부터 약 5시간 동안 우리 영공을 휘젓고 다녔으며, 대응 과정에서 우리 군 교전 지침과 보고 체계 허점이 여실히 드러났다.

WP 보도에 따르면 이번에 공개된 문건은 미군 고위 관계자에게 보고하기 위한 평가 형태의 프레젠테이션 문건으로 보인다. 해당 문건은 군이 북한 무인기를 탐지 및 격추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이유를 제시하면서 한국 방공망의 취약한 실태를 강조했다.

2 1 1
2 2 24

전반적인 대응력 부족했다
전력 마련에 3~5년 걸려

문건은 사건 당시 우리 군 대처에 대해 “지상 기반 레이더와 항공기 사이의 더딘 통신이 무인기 대응을 방해했으며, 한국 지휘관은 명확한 교전 규칙이 부족했다”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보안이 되지 않는 상공을 노리는 북한 조종사가 이용할 수 있는 방공망의 구멍과 군사 작전에 따른 부수적 피해(민간인 사상 등)에 대한 우려도 담고 있었다.

WP는 한국이 이 같은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올해 말까지 드론 부대를 설립하겠다고 약속했지만, 미 관리들은 “계획을 완전히 이행하고 필요한 장비와 기술을 획득하는 데 3~5년은 걸릴 것”이라 추정한다고 전했다. 이에 더해, 문건에는 “한국이 향후 적어도 6개월 동안은 북한 무인기에 조율된 대응을 일관적으로 펼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라는 평가도 있었다.

3 1 1
3 2 24

미사일에 지나치게 몰두?
합참, “기사 사실과 달라”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 연구원 엘런 김은 “한국은 북한의 미사일, 핵 프로그램에 상당히 몰두해 왔다”라며 북한이 이 지점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소형 무인기는 첨단 방공 시스템으로도 탐지 및 요격이 어려우며, 그는 “북한은 핵무기와 마찬가지로 비대칭 능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WP 보도에 합동참모본부는 기사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합참은 11일 입장을 내고 “드론작전부대 기술과 장비 확보에 3~5년이 걸린다는 사항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연내 드론 작전 사령부를 창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우리 군은 대응 전력을 정상적으로 전력화 중에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1
+1
3

국내 랭킹 뉴스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