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우크라 레오파드2 제공
기존 주력 전차를 넘겨주는 이유
독일을 압박하기 위한 카드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라 유럽 내에서 가장 그 중요성과 지위가 바뀐 국가는 아마 폴란드일 것이다. 우크라이나와 접해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평범한 나토 가입국이었던 폴란드는 기갑전력, 포병 전력의 대규모 확충을 통한 자주국방 실현으로 미래 유럽의 육군 강국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매우 커졌기 때문이다.
이런 폴란드가 최근 우크라이나에 자국의 주력 전차인 레오파드2를 지원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최근 러시아의 유럽에 대한 위협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폴란드가 이러한 선택을 내린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대해서 폴란드의 무기 체계와 외교적인 관점에서 분석해보겠다. 먼저 이 레오파드2 전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한때 최강의 주력 전차
하지만 확실히 지는 해
레오파드2는 독일에서 개발된 주력 전차로서 최초로 실전에 배치된 3세대 전차라는 칭호와 함께, 2000년대 초반까지 최강의 주력 전차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120mm 라인메탈 활강포를 포함해 강력한 무장과 첨단 장비들이 장착되면서 당시 세계에서 이에 맞설 수 있는 전차는 에이브럼스, 르클레르 등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었다.
하지만 냉전 이후로 독일이 대규모 군축을 단행하면서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시기를 놓쳐버렸고, 타국 전차들의 성능 개선과 신형 전차의 등장에도 2000년대의 성능에 그대로 머물러버렸다. 또한 생산량이 급감하면서 규모 경제가 사라지게 되었고, 이는 자연스럽게 대당 단가의 급상승으로 이어져 일종의 애물단지가 되어버렸다.
이미 K-2와 에이브럼스 도입 예정
혼동 주는 레오파드2 정리하는 셈
이러한 레오파드2의 단점과 다가오는 러시아의 직접적인 위협에 직면한 폴란드는 장기적인 해결책과 단기적인 해결책을 동시에 진행했다. 먼저 당장 미국으로부터 200대 이상의 에이브럼스 전차 도입 사업을 실시했으며, 장기적으로는 한국과 접촉하여 K-9 자주포, K-2 전차를 대량으로 구입 및 생산하는 사업을 맺었다. 이를 통해 폴란드의 목적은 시기에 맞게 축차적인 전력 강화를 이루려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에이브럼스, K-2와 호환도 되지 않고, 그렇다고 성능도 점차 뒤처지고 있는 레오파드2는 비싼 유지비를 잡아먹는 하마에 불과했고, 마침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기갑전력이 부족했던 우크라이나에 이를 제공하여 인도적 차원이라는 명분까지 획득하게 된 것이다.
에너지 이유로 소극적인 독일
독일의 적극적인 태도 유인 목적
다만 레오파드2는 폴란드가 독일로부터 구매한 전차이기 때문에 재수출을 위해선 독일의 허가가 필요한 상황인데, 이것도 하나의 전략이라는 추측이 있다. 러시아의 송유관 및 천연가스 차단으로 에너지난에 시달리던 독일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다른 서방국들에 비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따라서 폴란드는 레오파드2의 재수출 허가를 통해 현재 유럽 전역을 위협하고 있는 러시아의 위협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명분을 쥐여주려는 계획이라는 것이 이 추측의 핵심이다. 유럽의 최강국인 독일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면 러시아 입장에서도 큰 압박이 될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폴란드가 참 똑똑하군요
폴란드가 정말 영리하네
포란드가 답이네요
우리나라도 이러한확실한 단결역이있어야되는데 맨날국회네서 당파싸움질이나하니….우리나라인지북한인지 햇갈려서이렇게좌파인지하도많아서
마춤법띠어써기나 재데로헤라.
간첩질하는 민노총과 한배를 타고 노닥거리는 더불민노가
문재앙과 찢재명이 강아지 짓을 하니 ㅉㅉ
대한민국에서 국가를 가장 위태롭게 하는 무리들이 정치인과 언론인 쉐이들인데 폴란드보고 공부 좀 해라~
우째 두집단 쉐이들은 할 줄아는 것이라고는 밥그릇싸움밖에 없는 쉐이들이고 이것들만 없어지면 대한민국이 한단계 더 발전할텐데~~~
대한민국에서 국가를 가장 위태롭게 하는 무리들이 정치인과 언론인 쉐이들인데 폴란드보고 공부 좀 해라~
우째 두집단 쉐이들은 할 줄아는 것이라고는 밥그릇싸움밖에 없는 쉐이들이고 이것들만 없어지면 대한민국이 한단계 더 발전할텐데~~~
폴란드 🇵🇱 나라살림중 자주국방에
독일전차 운용비용이 많이지출 되기띠ㆍ문에 한국전차를 택할수밖에 없었다
가격대 자동장전 연료소모 유도거리도 여러가지를 봤을때 현명한 선택 이라고 생각합니다
생각합니다
폴란드의 결단력이 돋보이네요.
독일은 역사적으로 계륵이다
ㅋㅋㅋ
폴란드 잘 하고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