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자랑하는 둥펑
존재만 알려진 DF-27
이미 수년간 운용 중?

미국
1 2 32

중국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활동을 억제하고 전략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첨단 미사일 전력을 유지 및 강화하고 있다. 미 본토 타격이 가능한 DF-41로 대표되는 둥펑 계열 미사일은 열병식의 메인을 장식할 정도로 주목도가 높은 전략 무기이다.

그중 DF-27로 불리는 신형 미사일은 아직 공개 행사에 등장하지 않았으며 미 국방부는 2021년 연간 보고서에서 DF-27의 존재를 처음 언급했다. 최근 유출된 미 기밀문건에선 DF-27이 미국 미사일 방어망(MD)을 뚫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왔는데, 중국은 해당 미사일을 이미 수년 전부터 배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2 1 34
2 2 34

최첨단 극초음속 미사일
2019년 전부터 배치됐다

중국군 소식통을 인용한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보도에 따르면, 첨단 극초음속 미사일 DF-27이 4년 이상 운용되어 왔던 것으로 전해진다. 소식통은 DF-17이 2019년 국경절 열병식에서 최초 공개되던 당시, 후속 모델인 DF-27은 비밀리 실전에 투입됐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소식통은 “DF-27은 2019년 이전부터 로켓군에서 운용되어 왔지만, 중국 인민 해방군은 비장의 카드를 그렇게 일찍 공개하고 싶지 않았다”라고 전했다. 그는 “DF-27은 DF-26처럼 괌을 겨냥한 강력한 무기이며, 극초음속 활강체(HGV)나 다중 탄두를 탑재하도록 설계됐다”라고 덧붙였다.

3 1 32
3 2 35

추가 시험 필요해 공개 꺼려
괌·일본 겨냥할 전략무기

중국 인민 해방군이 DF-27을 공개하지 않은 이유로는 복잡한 운영 체계가 꼽혔다. 소식통은 “중국군이 DF-27을 수년간 운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복잡한 운영 체계를 갖추고 있어 지속적으로 시험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SCMP는 DF-27이 중국 본토에서 하와이나 알래스카까지 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지만, 일본이나 괌의 주요 기지를 겨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대해 대만 해군사관학교 전직 교관인 뤼리스는 “미국은 몇 년 전부터 DF-27 배치 계획을 알고 있었고,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를 추가 배치하는 등 괌 방공망을 정비했다”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1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