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 최악의 사건사고
향년 20세에 숨진 윤 일병
현장 검증 영상 아직도 화제
지난 2014년 4월 7일, 육군 제28보병사단 977포병대대 의무대에서 선임 병사들에 의해 집단 폭행 및 가혹 행위를 당하던 윤 일병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우리 군 역사상 가장 끔찍한 살인 사건이며,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윤 일병은 162cm, 50kg의 왜소한 체구를 갖고 있었는데, 가해자들은 전입과 동시에 온갖 육체적, 정신적 가혹행위를 일삼았고 카드를 갈취해 성매매 용도로 사용하기도 했다. 유튜브에는 사망 당일을 재연하는 현장검증 영상을 찾아볼 수 있는데, 많은 네티즌이 아직도 게시물을 찾아와 분노하고 있다.
잔혹한 범죄 저지른 범죄자들
주범 외엔 모두 출소했다
윤 일병 사건의 현장 검증 영상에서는 네 명의 가해자가 냉동식품을 먹던 중 패륜적인 언행을 일삼으며 폭행을 자행 및 방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주범 이찬희를 필두로 윤 일병이 의식을 잃을 때까지 잔인한 폭행과 욕설, 가혹 행위는 멈추지 않았다.
자대 배치 이후 한 달 동안 이어졌던 폭행에는 선임병들 외에 당시 의무지원관으로 복무하던 유경수 하사까지 가담했다. 결과적으로 이찬희를 제외한 다섯 명의 가해자는 이미 복역을 마치고 현재는 출소했고, 이찬희는 국군교도소에서까지 다른 수감자를 폭행 및 성추행하여 민간교도소로 옮겨져 2054년 출소 예정이다.
가해자와 육군 모두
사건 은폐하려 노력
목격자에 의해 전모가 드러나긴 했지만, 가해자들은 사건 직후 이러한 정황을 은폐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고, 실제로 증거인멸을 시도한 것으로 밝혀졌다. 정확한 가해 사실이 알려지기 전까지 윤 일병이 그저 냉동 음식을 먹다가 원인 미상의 의식 불명에 빠진 것으로 보고했고, 가해자 지정현은 “차라리 윤 일병이 안 깨어났으면 좋겠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사건의 진실을 알고 나서도 육군은 이를 은폐하기 위해 온갖 노력을 펼쳤다. 윤 일병의 입에 음식물이 가득 차 있었다고 정보를 조작하거나, 우발적인 사고로 위장하려 하는 등 사건을 은폐, 축소하기 위한 행동에 직접적으로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조직적 은폐에 대해 국가의 책임을 묻는 유족들의 법정 공방은 5년째 이어지고 있는데, 1심과 2심 모두 국가의 배상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다.
2021년 극단적 선택만 83명
한국 군대 이대로 괜찮을까
한편, 윤 일병 사건 현장검증 영상을 본 네티즌들은 아직도,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지옥 같은 시간을 보내며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 “기억 속에서 잊히고 있었는데… 유튜브에 뜨네요”, “아직도 부조리는 남아있다는 걸 기억해야 합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조선비즈의 보도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동안 극단적 선택을 한 군인은 83명으로 전년 대비 약 2배가 증가했다. 개정된 군사법원법에도 실상이 드러나지 않는 병영 내 범죄행위 및 자살 사건을 척결하려는 방법이 과연 군인권보호관 출범이 맞는지 의문이 든다.
썩어 빠진 직업 군인들~~ 육사 없애라~~ 뛔개 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