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고 끝에 전차 지원 결정
공식화한 독일과 미국 정부
우크라는 전투기까지 바란다
영국의 챌린저2 지원 결정 이후 우크라이나에 지원 수위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끊이지 않았다. 폴란드 등 주변국 압박 끝에 지난 25일, 독일과 미국은 주력 전차 지원을 공식화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통해 M1 에이브럼스 31대를 우크라이나로 보내겠다고 발표했고, 같은 날 독일 정부는 레오파드2 전차 14대와 더불어 제3국의 재수출도 허용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속도와 규모가 핵심”이라며 “최전선 영웅들에게 전 세계에서 더 많은 지원이 이뤄질수록 러시아의 침략이 더 빨리 마무리되고, 우크라이나의 안보도 더욱 탄탄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서방 전차 약 100대가 언제 전장에 도착할지에 관심이 쏠렸는데, 우크라이나 내부에서는 전투기를 바라는 목소리가 커졌다.
“4세대 전투기를 원합니다”
서방의 레드 라인 또다시 확장?
독일과 미국의 전차 지원 결정 이후,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부 장관은 “우리는 서구형 전투기라는 새로운 과제를 목전에 두고 있다”라는 글을 SNS에 게재했다. 같은 결로 유리 사크 우크라이나 국방장관 고문은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다음으로 넘을 큰 허들은 전투기 도입”이라며 “F-16 전투기뿐만 아니라 4세대 전투기를 원한다”라고 어필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숙고 끝에 전차를 얻게 된 마당에 전투기까지 바라는 것은 본격적인 서방의 전쟁 개입을 원하는 것이 아니냐”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그러나 사크 고문은 “서방은 우리에게 중포를 주지 않으려 했지만 결국 줬고, 하이마스나 전차도 주지 않으려 했지만 결국 줬다”라며 “이제 핵무기 말고 우리가 얻지 못할 것은 없다”라고 말했다.
록히드마틴의 증산 방침 발표
서방국 사이에서 대화 오갔다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의 저스틴 브롱크 연구원은 “우크라이나에 전투기마저 지원된다면 우크라이나가 공대공, 공대지 전투에서 우위를 점하게 될 게 분명하다”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우크라이나는 이전부터 영공 방어 강화를 위해 MiG-29를 비롯한 전투기 지원을 호소해왔다.
그런데, F-16 제조업체인 록히드마틴의 프랭크 세인트 존 COO는 파이낸셜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를 돕기 위해 제3자 이전을 선택하는 모든 국가를 위해 F-16 생산을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F-16을 우크라이나로 양도하는 방안에 대해 서방국 사이에서 많은 대화가 있었다”라고 덧붙였다. 이달 중순, 네덜란드 정부는 우크라이나 요청이 들어오면 F-16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는데, 록히드마틴이 지원 논의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F-16 지원은 백지상태라고 봐도 무방하다.
전차와 비슷하게 흘러가는 양상
전투기 지원에는 선 긋는 미·독
앞서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부 장관은 “유럽의 동료들이 미국산 F-16 전투기를 제공하는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 그의 발언과 록히드마틴, 네덜란드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실제로 서방국 사이에서는 F-16 지원에 대한 논의가 꽤 심각하게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F-16 전투기가 우크라이나로 향하기 위해선 제조국인 미국의 승인이 필요하다. 미국은 러시아 본토 타격 가능성을 철저히 배제하고 있기에 전투기 지원을 용납하지 않을 가능성이 큰데, 존 커비 미 백악관 전략소통조정관은 “그들이 전투기를 얘기한 게 처음은 아니지만, 이와 관련해선 발표할 것이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더해, F-16 운용국이 아닌 독일은 일찌감치 선을 그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나는 전투기를 보내지 않겠다는 점을 일찍이 분명히 했고 여기서 다시금 말한다”라며 공고한 입장을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