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이란 끈끈한 커넥션
자폭 드론 제공 정황 속출
러시아 본토서 생산 추진
서방 제재로 무기와 탄약 부족에 직면한 러시아는 이란제 자폭 드론을 대거 도입하여 우크라이나 전역에 공습을 지속 감행했다. 러시아는 이란 자폭 드론인 샤헤드-136을 게란-2로 둔갑하여 민간 주택과 인프라 시설을 겨냥했다. 이에 국제사회는 이란의 러시아 지원을 규탄하고 나섰는데, 이란은 드론 제공 사실을 부인해왔다.
그러던 지난해 11월, 워싱턴포스트는 서방 안보 당국 관계자를 인용하여, 러시아와 이란이 공격용 드론을 러시아 본토 내에서 직접 생산하는 데 합의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해당 사안이 양국 방위산업 협상을 통해 최종 확정되었다는 사실이 복수 국가의 보안 당국 관계자로부터 확인되면서 논란이 불거졌는데, 최근 이와 관련 자세한 정황이 드러나 화제가 되고 있다.
러시아 방문한 이란 대표단
향후 몇 년간 최소 6천 대 생산
현지 시각으로 지난 5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러시아 본토 내 이란제 드론 생산 시설 건축을 양국이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란혁명수비대 산하 우주·항공 관련 기관 ‘ASF SSJO’를 이끄는 압돌라 메흐라비 장군 등 이란 대표단이 최근 러시아 타타르스탄 공화국에 위치한 옐라부가를 방문했다.
익명의 소식통은 WSJ에 “이란 대표단과 러시아 당국자가 옐라부가에 마련된 공장 부지를 둘러봤고, 이 과정에서 향후 몇 년 동안 이란제 드론 최소 6천 대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 건설 계획을 구체화했다”라고 전했다. 이에,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 사이에서는 양국 간의 협력 강화를 경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으며 제재 수위를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드론 제공받는 러시아
이란에 첨단 장비 건넨다
러시아는 오랜 서방 제재로 축적된 이란의 우회로가 필요하며, 반대로 이란은 핵 관련 기술 및 전투기 등 러시아의 고도화된 방산기술이 절실한 상황이다. 양국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더 끈끈하게 결합했고, 러시아가 드론 제공 대가로 서방 무기나 현금 등을 이란에 넘기고 있다는 관측도 있었다.
심지어, 지난달 샤흐리야르 헤이다리 이란 의원은 “우리가 주문한 Su-35 전투기들이 내년 초 이란에 도착할 예정”이라고 밝혔는데, 서방 진영은 해당 거래가 자폭 드론 제공에 따른 대가성 지원이라고 주장했다. 오센 카리미 이란 중앙은행 부총재가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러시아 은행 700여 곳과 이란 은행 106곳이 최소 13개국과 연결됐다”라고 밝힌 점을 고려하면 제재 회피 경로가 더 넓게 퍼졌을 가능성이 크다.
“위험한 동행이다”
네티즌들의 반응은
한편, 이란이 러시아 본토 내에 드론 생산 공장을 건설한다는 소식에 네티즌들은 “이란이 진정 악의 축이 되어가는구나”, “이란만 연계되어 있지 않을 듯”, “서방 지원 수위를 높여야 합니다”, “이걸 본 북한은 무인기에 더 박차를 가하겠지”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란의 러시아 지원이 계속되자 미 재무부는 이란 드론 제조업체 고위 임원 8명에 대한 제재를 가했다. 브라이언 넬슨 미 재무부 테러금융정보 담당 차관은 성명을 통해 “이란은 우크라이나의 중요한 인프라를 목표로 러시아의 전투 작전에 무인기를 공급하고 있다”라며 “미국은 이란의 무인기 프로그램의 모든 요소를 계속해서 공격적으로 겨냥할 것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