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동맹국 벨라루스
참전 의혹 끊임없이 제기
최근 드러난 수상한 점들

0cff7d37 bcb8 4093 85f8 e66993e8665d

러시아의 최우방국으로 알려진 벨라루스는 지난해 초 러시아군의 키이우 진격 당시 자국 영토 내 주둔과 이동을 허용해 논란이 됐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은 호형호제하는 사이로 알려졌으며, 벨라루스는 러시아에 국정 운영 전반을 기대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벨라루스에 핵무기 탑재 미사일 시스템을 공급하겠다고 약속했고, 최근 러시아군의 봄 대공세 전망에서도 ‘벨라루스 루트’는 빠지지 않았다. 이에, 벨라루스의 참전 가능성이 끊임없이 제기됐지만 루카셴코 대통령은 극구 부인해왔다.

b7e6f573 a116 43fc 8064 ed2596383432
3d872c56 98e5 46db 991b a66927ae1a58

침략 없인 참전 없다더니
“군사적 도발 가능성 커졌다”


벨라루스의 우크라이나 접경 지역에서는 지난해 10월부터 러시아군이 주둔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개전 1주년이 다가오면서 협공 가능성이 점쳐지자, 루카셴코 대통령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동참할 것을 요청한 적이 없다”라며 “우리 영토가 침략당했을 경우에는 러시아와 함께 싸울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그리고 지난 21일, 벨라루스 국방부는 텔레그램 게시글을 통해 “현재 상당히 많은 우크라이나군이 국경 인근 지역에 집결해 있다”라며 “군사적 도발 가능성이 커졌다”라고 밝혔다. 앞서 루카셴코 대통령은 “적어도 한 명의 우크라이나 군인이 내 국민을 숨지게 하면 보복은 가장 가혹할 것”이라고 강조했기 때문에 벨라루스 국방부의 주장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932a6ba2 e0e7 4c08 9d8f 13c0ef4e4bf3
2497b3ad 84cb 4750 a156 e1456463ee4b

“모두가 무기를 다뤄야…”
지역민방위군 창설 지시


같은 날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이 자원자로 구성된 10~15만 명 규모의 지역민방위군 창설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진다. 바로 전날 루카셴코 대통령은 국가 안보회의에서 “상황이 쉽지 않다, 모든 사람들이 최소 무기를 다룰 줄 알아야 한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빅토르 흐레닌 벨라루스 국방부 장관은 “지역민방위군은 10~15만 명의 자원자로 조직될 것이며 필요한 경우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라며 “모든 지역과 마을에 민방위군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 사안이 확전을 대비한 방어 수단인지, 러시아군 화력 지원을 위한 발판 마련인지에는 해석이 갈리고 있다.

9d059b54 a95e 475c bb5a 27ccd1306105
0fd39859 e956 4f1c 89f3 8b34ab53fc0a

흡수 통합 계획 문서 유출
벨라루스 요새로 이용되나


한편, 독일 도이체벨레 등 서방 언론은 러시아의 벨라루스 흡수 통합 계획이 담긴 문서가 러시아 대통령실에서 유출됐다고 보도했다. 2021년 여름 작성된 해당 문서는 2022년과 2025년, 2030년을 기점으로 러시아의 벨라루스 내 점진적 침투 계획이 담겨있고, 2030년까지 완전히 합병하여 연방 국가 형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양국은 이미 1999년 합의에 따라 공식적인 연방 국가 성격을 띠고 있으며, 덕분에 완전 합병의 법적 근거도 마련되었다. 최근 루카셴코 대통령은 자국 내 Su-25 전투기 생산 준비가 끝났다고 밝혔는데, 이에 대해 미 싱크탱크 전쟁 연구소는 “러시아군을 지원하는 방산 기지가 될 가능성이 있다”라고 전망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