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탄약 부족 시달리는 양국
스위스가 무기 지원 걸림돌

07f6084d 61b4 4050 b4ed 68532bdb25da

개전 1년이 지난 우크라이나 전쟁은 동부 전선에서의 치열한 소모전 양상이 지속되고 있다. 교전이 거듭될수록 양국은 탄약 등 무기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데, 우크라이나 탄약 제공에 차질이 생기면 러시아의 승리로 전쟁이 끝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조셉 보렐 EU 외교 안보정책 고위대표는 지난 뮌헨 안보회의에서 “탄약 공급 등 재래식 무기 공급 없이는 이 전쟁에서 이길 수 없다”라며 “탄약 부족 문제가 빠르게 해결되지 않으면 전쟁은 러시아의 승리로 끝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미국 등 서방 주요국은 신속한 탄약 지원을 위한 조치에 나섰지만 스위스가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0cb18f7b cf0d 4c33 8c54 90370c7f672b
472df765 d4dd 44dc 9aef 563d630e6799

비축량 바닥 보이는 서방
쌓아 두고도 지원 못한다


지난달 28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립국 스위스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서방의 무기 지원을 방해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스위스는 타국 전쟁에 개입하지 않는 조건으로 자국 안보를 보장받는 영세중립국이며 무력 분쟁이 일어나는 지역으로의 자국산 군수품 조달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다.

스위스의 무기 재수출 허가 문제는 전쟁 초기부터 꾸준히 제기된 문제이다. 해당 논란이 재점화한 이유는 최근 미국을 필두로 많은 서방 국가들이 자국 무기고를 탈탈 털어 지원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WSJ은 나토 회원국들이 무기를 쌓아 놓고도 우크라이나에 지원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논평했는데, 실제 독일은 장기 계약 중단까지 거론하며 압박 수위를 높인 것으로 전해진다.

e2ffa02e 674a 4110 965f 05bd888c2280
ce9df262 62a9 41d9 a084 7a04a9053f52

드론 잡을 대공포 탄약 아껴 써
스피커들 비판 목소리도 커진다


스위스의 반대로 지원에 차질을 빚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는 독일과 스페인이다. 독일은 수십 년 전 비축한 스위스산 게파르트 자주대공포 탄약 12,400발을 지원하려 했지만 스위스는 지난해부터 승인을 거부하고 있다. 더불어, 스페인과 덴마크는 피라냐 보병 전투용 장갑차와 아스파이드 대공 방어망을 제공하려 했으나 가로막혔다.

이 같은 상황에 스위스를 향한 비판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올렉산드르 메레즈코 우크라이나 외교위원장은 “스위스가 우크라이나를 더욱 지원해야 한다”라고 WSJ에 말했고,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은 지난달 “우크라이나에 대해서는 중립인지 아닌지를 따질 것이 아니다”라며 스위스를 도마에 올렸다.

ae1b206a 8d71 4574 b845 6286e1e2e6f5
4d328f7e f475 4d1f 9720 bc50877a51a0

스위스 정치권 움직임 관측
국민 의견도 많이 변화했다


서방의 압박이 심화하자 스위스 의회 내에서도 무기 재수출을 승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스위스 연방 하원 산하 무기 수출 관련 위원회는 관련 안건을 통과시켜 연방 하원 전체 투표에 부쳤다. 하지만 법안이 통과된다고 해도 약 3~6개월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빨라야 내년 초에나 무기 조달이 가능하다고 WSJ은 꼬집었다.

그렇다면 스위스 국민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지난 1일 발표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50%가 자국산 무기 재수출을 승인해야 한다고 답했다. 나머지 46%는 재수출 반대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4%는 기권표를 던졌다. 탄약 보급이 시급한 우크라이나에 스위스제 무기가 언제쯤 도착할 수 있을지 지켜보도록 하자.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1
+1
0
+1
0
+1
1

1

  1. 유럽과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는 글로벌 딥스테이트 세력들이 장악하고 있다. 그들은 인류를 노예화하고 세계 부를 독차지 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각각 양분되어 있다. 하지만 사실상 반대세력이 장악하고 있다.
    대만엔 글로벌리스트들의 자산이 많다고 한다.
    우크라이나가 그들의 돈세탁을 도운 것처럼 대만도 어떤 역할을 한 것임에 틀림없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