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공군 긴급 예산 책정
E-7 조기 경보기 도입 가속화
전환 속도 올리는 이유는?
이달 초 미 공군이 요청한 2024 회계연도 예산은 올해보다 54억 달러(한화 약 7조 원) 늘어난 1,851억 달러(한화 약 239조 9,451억 원)가 책정되었다. 미 공군은 이를 통해 기존 무기를 유지 및 보강하고 차기 전력을 도입할 예정인데, 디펜스뉴스가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E-7 조기 경보기 조달 속도를 높이기 위한 6억 3,300만 달러(한화 약 8,190억 원)이 우선순위 목록에 들어갔다고 한다.
현재 미 공군은 기존 E-3 센트리 조기 경보기 31대를 퇴역시키고 있으며, 현시점 서방권 유일의 대형 조기 경보통제기인 E-7 함대로 전환할 계획이다. 지난해 미 의회 내에서도 E-7 조기 도입 요구가 대두되어 예산 처리 역시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조기 경보기 교체 작업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대만 수호 위한 제공권 확보
기존 E-3 노후화 문제도 심각
미 공군이 E-7 조기 경보기 도입을 앞당기려는 이유는 중국의 군사력 팽창이 꼽힌다. 케네스 윌스바흐 미 태평양공군 사령관은 최근 한 세미나에서 “태평양 공군에 예산이 추가 배정된다면 제공권 확보에 쓸 것이다”라며 제공권을 강조했고, 이어 E-7 조기 경보기 도입이 최우선이라고 덧붙였다.
무엇보다 E-3 센트리의 노후화에 따라 전력 공백이 우려된다는 점이 부각된다. 디펜스뉴스 보도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미 공군 E-3G 임무 수행 가능 비율은 60.7% 수준이며 E-3B도 55.8%에 그쳤다. 윌스바흐 사령관은 “E-3는 공중에 띄우는 것조차 엄청난 도전이다”라고 말할 정도였으니 미 의회가 조기 도입 압력을 행사하는 것도 이상하지 않다.
2032년까지 26대 도입 계획
우리 공군도 추가 발주 유력
지난달 미 공군은 보잉과 총 12억 달러(한화 약 1조 5,548억 원) 규모의 E-7 개발 계약을 체결했고, 2032년까지 26대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내년도 긴급 예산은 2대의 E-7 시제기 인도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책정됐으며, 현재 2027년 납품이 예정되었다.
미 공군의 E-7 전환에 따라 나토를 비롯한 기존 E-3 운용국들 역시 향후 E-7 조기 경보기 채택이 유력한 상황이다. 첫 도입국인 호주와 튀르키예, 대한민국과 영국이 E-7을 운용 중인데, 우리 공군은 2차 E-X 사업을 통해 추가 발주가 유력하므로 규모의 경제에 따라 도입 비용 분산 혜택을 볼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