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공군 긴급 예산 책정
E-7 조기 경보기 도입 가속화
전환 속도 올리는 이유는?

image 197aa4e0 c0de 4303 874c 0481ec5b9ca1
image 0deb9b67 6c34 41ff a2a0 7a897126e34e

이달 초 미 공군이 요청한 2024 회계연도 예산은 올해보다 54억 달러(한화 약 7조 원) 늘어난 1,851억 달러(한화 약 239조 9,451억 원)가 책정되었다. 미 공군은 이를 통해 기존 무기를 유지 및 보강하고 차기 전력을 도입할 예정인데, 디펜스뉴스가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E-7 조기 경보기 조달 속도를 높이기 위한 6억 3,300만 달러(한화 약 8,190억 원)이 우선순위 목록에 들어갔다고 한다.

현재 미 공군은 기존 E-3 센트리 조기 경보기 31대를 퇴역시키고 있으며, 현시점 서방권 유일의 대형 조기 경보통제기인 E-7 함대로 전환할 계획이다. 지난해 미 의회 내에서도 E-7 조기 도입 요구가 대두되어 예산 처리 역시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조기 경보기 교체 작업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image 36779597 9a82 4385 878b c5a8c41043f9
image aae0cf37 7a73 45e0 9cca 26461c9681b2

대만 수호 위한 제공권 확보
기존 E-3 노후화 문제도 심각


미 공군이 E-7 조기 경보기 도입을 앞당기려는 이유는 중국의 군사력 팽창이 꼽힌다. 케네스 윌스바흐 미 태평양공군 사령관은 최근 한 세미나에서 “태평양 공군에 예산이 추가 배정된다면 제공권 확보에 쓸 것이다”라며 제공권을 강조했고, 이어 E-7 조기 경보기 도입이 최우선이라고 덧붙였다.

무엇보다 E-3 센트리의 노후화에 따라 전력 공백이 우려된다는 점이 부각된다. 디펜스뉴스 보도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미 공군 E-3G 임무 수행 가능 비율은 60.7% 수준이며 E-3B도 55.8%에 그쳤다. 윌스바흐 사령관은 “E-3는 공중에 띄우는 것조차 엄청난 도전이다”라고 말할 정도였으니 미 의회가 조기 도입 압력을 행사하는 것도 이상하지 않다.

image f87eba95 4d8f 4d0f a39b d194f2d5b038
image cb7d894e aa80 4c29 868f c64b021c297c

2032년까지 26대 도입 계획
우리 공군도 추가 발주 유력


지난달 미 공군은 보잉과 총 12억 달러(한화 약 1조 5,548억 원) 규모의 E-7 개발 계약을 체결했고, 2032년까지 26대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내년도 긴급 예산은 2대의 E-7 시제기 인도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책정됐으며, 현재 2027년 납품이 예정되었다.

미 공군의 E-7 전환에 따라 나토를 비롯한 기존 E-3 운용국들 역시 향후 E-7 조기 경보기 채택이 유력한 상황이다. 첫 도입국인 호주와 튀르키예, 대한민국과 영국이 E-7을 운용 중인데, 우리 공군은 2차 E-X 사업을 통해 추가 발주가 유력하므로 규모의 경제에 따라 도입 비용 분산 혜택을 볼 가능성이 높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1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