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7차 핵실험을 앞둔 모양새라 미국을 필두로 우리나라와 일본은 군사적 동맹을 견고히 하며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우크라이나 사태를 보고, 자주 국방력을 키우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데, 2022년 현재 우리나라 군사력은 어느 정도일까?
지난 2019년, 말레이시아 공군은 경전투기 도입 사업을 위해 FA-50, 파키스탄의 JF-17, 러시아의 MiG-35 등과 함께 인도의 테자스를 후보에 올렸다. 지금까지 각국은 계약 성사를 위해 여러 마케팅 요소를 어필했는데, 테자스를 생산하는 HAL은 말레이시아가 운용 중인 Su-30 기체의 유지 보수를 제공하겠다고 나섰다.
흔히 자동차 회사로 잘 알려졌지만, 항공기 제작이 원조인 스웨덴 기업 Saab는 대표적인 방산업체 중 하나이다. 사브의 CEO인 마이클 요한슨은 지난달 기자회견에서 자사의 주력 4.5세대 전투기인 ‘JAS-39 그리펜’의 수출 실적에 대해, “매우 실망스럽다”라며 착잡한 심정을 털어놨다.
인도네시아는 현재 8천억 원을 연체 중이며, 30%를 석유 및 팜유 등 현물로 지급하겠다며 협의에 나서기도 했지만 상환은 감감무소식이다. 이에, KF-21이 성공적으로 개발 중이니 인도네시아 국기를 떼고 독자 개발 체재로 돌아서자는 여론이 우세한 지경에 이르렀는데, 최근 잠수함 관련 계약에서도 대금 처리에 모호한 태도를 보이는 모양이다.
18일 대만 국방부에 의하면, 이날 중국군은 Su-30, J-16 등 군용기 51기를 대만 인근에 급파했으며 그중 25기가 대만 서남부 방공식별구역(ADIZ)에 진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의 군사적 압박에 대만 공군도 주력 전투기 F-16V의 훈련 영상을 공개했는데, 장기적인 임무 수행에는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여행지를 방문하는 일은 두렵기도 하지만, 설렘으로도 다가오곤 합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여행지 중 하나인 사이판에서 약 5km만 더 가면 원시 자연이 그대로 살아있는 섬 하나를 만날 수 있는데요. 바로 '티니안' 섬입니다. 이곳은 사이판의 1/2 정도밖에 되지 않는 작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