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에서 선호되는 좌석 중 하나는 앞좌석입니다. 목적지에 도착한 후 남들보다 먼저 내릴 수 있어 편하기 때문이죠. 국제선의 경우 반드시 입국심사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늦게 내리면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제법 길어서 앞좌석이 선호되곤 합니다.
하지만 정작 이 모든 것을 마치고 일찍 나왔는데 수하물을 찾을 때 시간이 오래 걸린다면 이 또한 여간 짜증 나는 일이 아닌데요. 분명 그 누구보다 빠르게 탑승수속을 했음에도, 짐이 늦게 나온 적 다들 한 번쯤 있으실 겁니다. 그렇다면 비행기에서 짐이 나오는 순서는 어떻게 정해지는 걸까요?
우선 여행자들 사이에 공항에서 맨 마지막 또는 처음에 체크인하면 비행기에 붙인 짐이 빨리 나온다는 속설이 있었는데요.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비행기는 화물의 무게 균형을 중시하기 때문에 탑승 체크인 순서는 그다지 관계가 없기 때문이죠.
국내 메이저 항공사의 경우 비행기가 도착하고 짐이 나오는 순서는 대부분 유사한데요. 우선 일등석 승객의 수하물이 가장 먼저 나오고 이어서 비즈니스 클래스의 짐이 뒤를 따릅니다. 그다음은 항공사 별로 운영 중인 멤버십이 우선되죠. 이렇게 짐이 나온 후에야 일반석의 짐이 풀리기 시작합니다.
비행기에서 이 짐들을 미리 구분해 놓는 방법도 따로 있습니다. 각각의 항공기용 컨테이너에 일등석과 비즈니스석, 주요 멤버십 고객의 짐을 별도로 구분해서 싣는 것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항상 이들의 짐이 섞이지 않고 빨리 나올 수 있는 것이죠. 반면 작은 비행기인 보잉 737기종에는 컨테이너 대신 팔레트를 사용해 짐을 싣는데요. 이때는 가방에 붙은 멤버십 등급별 표식이나 태그 등을 확인해 짐을 먼저 내리게 되죠.
반면 일반석 짐이 나오는 순서는 거의 복불복인데요. 별다른 순서가 따로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컨테이너를 내리는 작업자들이 어느 것을 먼저 내리느냐, 어떤 걸 먼저 열어서 짐을 보내느냐에 따라 달린 것이죠. 즉, 맨 마지막 또는 처음에 체크인한다고 해서 가장 빨리 짐이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에서는 체크인할 때 직원에게 쉽게 깨지거나 부서질 수 있는 물건이 있을 경우 붙이는 ‘취급 주의(Fragile)’ 태그를 붙여달라고 하면 나중에 짐이 빨리 나온다는 얘기도 있는데요. 앞서 말했듯이 짐이 실리는 컨테이너의 위치가 유동적이기 때문에 100% 확실한 방법은 아니라고 하네요.
비행기 좌석에 등급이 없는 저가 항공사에서는 어떤 방법으로 짐의 순서를 정할까요? 메이저 항공사 일반석과 마찬가지로 복불복이지만, 일부 항공사에서는 추가 요금을 내고 구매한 비상구 좌석 등에 한해 별도의 태그를 달아 짐을 빨리 처리해주는 우선 수하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합니다. 일등석, 비즈니스석, 항공사 멤버십 승객도 아니라면 가장 확실한 방법은 기분 좋게 여유를 갖고 기다리는 것이 아닐까 싶네요.
댓글0